[비즈니스포스트] 메디톡스가 2분기부터 3공장 가동률 상승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이익 극대화)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정희령 교보증권 연구원은 7일 메디톡스 목표주가 19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4일 메디톡스 주가는 16만6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정희령 연구원은 “1분기 보유 재고의 판매로 3공장 가동률이 낮아 매출총이익률(GPM) 개선세가 제한적이었으나 2분기는 매출 성장하면서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났다”고 추정했다.
메디톡스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639억 원, 영업이익 117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24년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7%, 영업이익은 18.7% 줄어드는 것이다.
올해 2분기는 기저 효과에도 불구하고 매출 성장세가 유지된 것으로 분석됐다. 법무비 감소와 맞물리며 실적이 반등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됐다.
1분기에는 앨러간, 휴젤과의 해외 소송 등으로 약 120억 원의 법무비가 발생했다. 다만 해당 건들이 2분기 전 종료되면서 법무비는 분기 50억 원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메디톡스는 2024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630억 원, 영업이익 43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4년과 비교해 매출은 15.2%, 영업이익은 115% 증가하는 것이다. 김민정 기자
정희령 교보증권 연구원은 7일 메디톡스 목표주가 19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 메디톡스가 2분기부터 매출 확대와 3공장 가동률 상승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이익 극대화) 효과가 본격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직전 거래일인 4일 메디톡스 주가는 16만6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정희령 연구원은 “1분기 보유 재고의 판매로 3공장 가동률이 낮아 매출총이익률(GPM) 개선세가 제한적이었으나 2분기는 매출 성장하면서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났다”고 추정했다.
메디톡스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639억 원, 영업이익 117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24년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7%, 영업이익은 18.7% 줄어드는 것이다.
올해 2분기는 기저 효과에도 불구하고 매출 성장세가 유지된 것으로 분석됐다. 법무비 감소와 맞물리며 실적이 반등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됐다.
1분기에는 앨러간, 휴젤과의 해외 소송 등으로 약 120억 원의 법무비가 발생했다. 다만 해당 건들이 2분기 전 종료되면서 법무비는 분기 50억 원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메디톡스는 2024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630억 원, 영업이익 43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4년과 비교해 매출은 15.2%, 영업이익은 115% 증가하는 것이다. 김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