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아시아나항공이 4분기부터 여객사업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안도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7일 “국제선 총공급좌석거리(ASK)는 여객기 보유대수가 감소로 줄어들 예정이나, 국제선 운임은 올해 4분기부터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안 연구원은 “대한항공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종업원 급여 인상이 예정됐으나, 운임상승과 더불어 정비비·공항관련비 등의 단위비용이 축소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며 “유류비 부담도 완화되고 있으므로 여객사업 수익성은 점차 상향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시아나항공의 화물기사업 부문 매각에 따른 일회성 비용은 약 400억 원으로 추산했다.
회사는 올해 8월1일 에어인천의 화물전용기 사업을 분할해, 에어인천에 4700억 원에 매각한다.
안 연구원은 “이를 제외하면 일회성 비용은 향후 크지 않을 것”이라며 “아시아나항공은 2024년 4분기 마일리지 등 대한항공과의 회계기준을 일치화하면서 비용 1115억 원을 선반영해, 관련 추가 일회성 비용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화물기사업 부문이 매각됐다해도 밸리카고(여객기 하부공간을 이용한 화물운송)은 여전히 운영하기에 화물사업 매출은 기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나 완전히 없어지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아시아나항공은 2025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조4600억 원, 영업이익 109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2024년보다 매출은 10%, 영업이익은 60.5% 감소하는 것이다. 신재희 기자
안도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7일 “국제선 총공급좌석거리(ASK)는 여객기 보유대수가 감소로 줄어들 예정이나, 국제선 운임은 올해 4분기부터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안도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의 여객사업이 수익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7일 전망했다.
안 연구원은 “대한항공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종업원 급여 인상이 예정됐으나, 운임상승과 더불어 정비비·공항관련비 등의 단위비용이 축소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며 “유류비 부담도 완화되고 있으므로 여객사업 수익성은 점차 상향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시아나항공의 화물기사업 부문 매각에 따른 일회성 비용은 약 400억 원으로 추산했다.
회사는 올해 8월1일 에어인천의 화물전용기 사업을 분할해, 에어인천에 4700억 원에 매각한다.
안 연구원은 “이를 제외하면 일회성 비용은 향후 크지 않을 것”이라며 “아시아나항공은 2024년 4분기 마일리지 등 대한항공과의 회계기준을 일치화하면서 비용 1115억 원을 선반영해, 관련 추가 일회성 비용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화물기사업 부문이 매각됐다해도 밸리카고(여객기 하부공간을 이용한 화물운송)은 여전히 운영하기에 화물사업 매출은 기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나 완전히 없어지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아시아나항공은 2025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조4600억 원, 영업이익 109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2024년보다 매출은 10%, 영업이익은 60.5% 감소하는 것이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