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린푸드 주가가 오를 것으로 보인다.
단체급식의 단가 인상과 백화점 외식부문의 성장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박애란 KB증권 연구원은 13일 현대그린푸드 목표주가 1만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현대그린푸드 주가는 직전거래일인 10일 1만33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현대그린푸드는 2018년 단체급식의 점진적 실적 개선과 현대리바트 편입이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하반기 실적 개선 가능성과 부진한 외식 경기 속에서 차별화되는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그린푸드는 단체급식 등 푸드 서비스, 가구제조 및 판매, 공산품 및 생식품 유통사업을 한다.
전체 매출에서 푸드 서비스부문 매출은 18%를 차지하는데 푸드 서비스 매출의 75%를 그룹사에서 거두고 있다.
현대그린푸드는 2분기 현대제철과 현대모비스 등 그룹 내 일부 거래처에서 단체급식 단가를 인상했고 1분기 마케팅비용 증가로 부진했던 현대리바트의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910억 원, 영업이익 428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2017년 2분기보다 매출은 28.1%, 영업이익은 19.8% 늘었다.
단체급식부문의 실적 개선 외에도 푸드코트와 베이커리 중심으로 백화점 외식부문이 성장하고 있고 명절 선물세트 판매가 양호할 것으로 보여 실적에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현대그린푸드는 단체급식 외에도 사업구조를 다각화해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 영업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라며 “평택 미군기지 내 신규 영업점과 2019년 1분기 가동 예정인 푸드센터 운영 효과도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현대그린푸드는 2018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4030억 원, 영업이익 1618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34.3%, 영업이익은 85.8%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
단체급식의 단가 인상과 백화점 외식부문의 성장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 박홍진 현대그린푸드 대표이사 사장.
박애란 KB증권 연구원은 13일 현대그린푸드 목표주가 1만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현대그린푸드 주가는 직전거래일인 10일 1만33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현대그린푸드는 2018년 단체급식의 점진적 실적 개선과 현대리바트 편입이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하반기 실적 개선 가능성과 부진한 외식 경기 속에서 차별화되는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그린푸드는 단체급식 등 푸드 서비스, 가구제조 및 판매, 공산품 및 생식품 유통사업을 한다.
전체 매출에서 푸드 서비스부문 매출은 18%를 차지하는데 푸드 서비스 매출의 75%를 그룹사에서 거두고 있다.
현대그린푸드는 2분기 현대제철과 현대모비스 등 그룹 내 일부 거래처에서 단체급식 단가를 인상했고 1분기 마케팅비용 증가로 부진했던 현대리바트의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910억 원, 영업이익 428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2017년 2분기보다 매출은 28.1%, 영업이익은 19.8% 늘었다.
단체급식부문의 실적 개선 외에도 푸드코트와 베이커리 중심으로 백화점 외식부문이 성장하고 있고 명절 선물세트 판매가 양호할 것으로 보여 실적에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현대그린푸드는 단체급식 외에도 사업구조를 다각화해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 영업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라며 “평택 미군기지 내 신규 영업점과 2019년 1분기 가동 예정인 푸드센터 운영 효과도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현대그린푸드는 2018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4030억 원, 영업이익 1618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34.3%, 영업이익은 85.8%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